VET space / 수의대생 블로그

2탄! 한국의 동물복지 농장의 현황과 장/단점. feat. 동물복지인증 제도 본문

All of animal[동물]

2탄! 한국의 동물복지 농장의 현황과 장/단점. feat. 동물복지인증 제도

에플쓰는 루카 2020. 8. 5. 08:00


지난 편에 이어서 이번에는 한국의 동물복지농장 현황과 동물복지농장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동물 복지 축산 농장 현황입니다.

동물 복지와 지속 가능한 안전한 축산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짐으로 인해, 한국 정부는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를 도입했습니다. 우리나라 동물 복지 농장 인증제도는 2012 3 19일 알 낳는 닭으로 시작해 돼지(2013), 육계닭,(2014년) 소 순서로 인증제도가 생성되었습니다.

국내 동물 복지 농장은 2017 8월 기준으로 양계장 92, 양돈장 22, 소 사육장 6곳 등 총 132개 농가가 있습니다. 이 수치는 매우 낮은 수치로, 양계농장의 8.5%, 육계농장의 0.67%, 돼지농장의 0.26%, 소 농장의 0.11% 정도입니다.


출처 : http://www.chuksannews.co.kr/mobile/article.html?no=234015


다음으로 동물 복지 농장 운영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물 복지 농장은 동물, 목장주, 그리고 환경에 더욱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 동물의 건강은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avian/ swine flu, Campylobacter, Salmonella와 같은 식품 매개 박테리아 질병). 동물들의 복지를 향상하는 것이 질병 질환을 통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입 중 하나로 점점 더 인식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캄필로박터와 대부분의 살모넬라 종은 전통적으로 인간에게는 위험하지만 닭 자체에 질병의 임상적인 징후를 주지 않는 질병으로 생각되어 왔지만, 복지가 높은 닭들이 이러한 박테리아를 옮길 가능성이 더 적다는 것이 점점 더 명백해지고 있습니다.
  • 동물이 죽지 않거나, 또는 죽어야 할 경우에도 질병과 부상은 경제적, 복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그들의 건강을 향상하는 것은 효율성과 복지가 함께 작용하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합니다. 건강한 동물은 수의학적 처치, 약물치료, 치료하는데 필요한 노동에 더 적은 비용이 듭니다. 이에 따라 농민들은 목장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동물 복지 농장은 밀집 사육으로 인한 악취로 인한 민원 발생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초원형성시 동물복지농장은 기본적으로 기계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가축의 발굽과 풀뿌리 특성을 활용한 이른바 '후프 재배'에 의해 조성됩니다. 그 결과 1. 초원이 조성될 때 초원에서 토양이 흘러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2. 가축의 배설은 초원의 유지와 관리에 있어 초원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화학비료의 투입을 억제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태계 순환 시스템을 유지함으로써, 건강한 자연환경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동물 복지 농장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익을 증대하며 지역 식량 공급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동물복지농장을 운영하는 대부분의 목장주는 동물을 돌보고, 건강하고 높은 복지 동물을 생산하는 데 큰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비록 그러한 장점들이 통계학적 용어로 수량화하기는 어렵지만, 그것들은 명확한 통계적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 만족하는 농민들은 가축을 더 자주 검사하고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것은 좋은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경제적으로 더 많은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런 선순환 속에서 일자리 만족도가 높은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도 있습니다.
  • 2001 '가축의 인간적 취급, 수송, 도축에 관한 지침(FAO, Humane Society International)'에 따르면 도축 전에 건강하고 잘 쉰 동물은 양질의 고기를 생산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합니다. 도살 전과 도살 중 동물성 스트레스는 고기의 품질과 시장 가격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스트레스를 덜 받는 동물들은 더 나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동물복지농장은 요즘 소비자의 안녕을 선호하는 소비패턴에 대응하는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동물복지농장은 천연자원의 고유 동력을 활용해 풀, 토양, 가축 등의 자연순환에서 식량을 얻는 농법입니다. 가축은 친환경 잔디 식품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맛있고 안전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olhwameat.com/AnimalWelfareFarm


하지만 한국의 동물복지농장 운영에 대한 단점도 존재합니다.

동물복지농장 전환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부족합니다.

다수 농가의 동물복지농장 운영 노하우가 부족합니다. 이는 동물복지농장을 적정하게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생깁니다.

한국의 현재 고용 상황은 동물복지농장으로의 전환 과정에 필요한 인력 충원이 어렵습니다.

농장주들은 그들의 제품을 판매할 장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동물복지농장 운영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안 사항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 수집이 더욱 필요합니다.

- 더 많은 시료를 채취하여 동물복지농장의 장점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하는 닭의 진드기가 더 많다는 소문과 같은 의견을 확실하게 검증할만한 확실한 과학적 자료가 더 필요합니다.

• 사육 관리의 어려움 및 아직까지 사업성 측면에서 동물복지 농장의 혜택이 부족합니다.

- 공장식 사육 닭보다 10% 낮은 계란 생산율, 활동량 증가에 따른 사료 비율(10~15%) 증가,농장 운영 초기 고정고객 발굴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 동물복지 축산농가의 인증은 친환경, 항생제,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인증보다 훨씬 까다롭지만 인증과정이 명확하지 않고 인증과정에서 차별성이 부족합니다.


이처럼 동물복지 농장으로의 전환은 장점과 단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동물 복지 농장에 대한 오해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1탄 : [동물 복지] 한국 산업동물 복지는 어떨까?

 

[동물 복지] 한국 산업 동물 복지는 어떨까? feat. 동물복지인증

제가 처음 헝가리에 도착했을때 놀랄만한 일 중 한가지는 한국과 다른 애견 문화였습니다! 거리 곳곳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도그 파크와 카페, 식당, 쇼핑몰등의 편의시설도 강아지들과 함께

bestwook.tistory.com

[동물 복지] 3탄 한국 산업동물 복지는 어떨까? feat. 동물복지 인증

 

[동물 복지] 3탄 한국 산업동물 복지는 어떨까? feat. 동물복지인증

이번에는 동물 복지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 # 동물복지 = 채식주의자를 뜻 하나요? 우리나라 대부분의 동물보호단체들도 동물과 함께 행복할 권리를 주장하며 채식주의�

bestwook.tistory.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