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소
- 우유
- Dressage
- 동물복지인증
- 수의학
- vet medicine
- 수의해부학
- 산업동물
- 동물 복지 농장
- 웰츠
- 수의사
- 애니멀브리딩
- 가축육종학
- veterinary
- 동물복지
- holstein
- 돼지
- 양
- 젖소
- beef cattle
- animal breeding
- 수의대생
- Cattle
- 동물육종학
- 염소
- 동물
- Anglo-Arab
- 농장동물
- 수의대
- cow
- Today
- Total
목록소소하게 제테크 (4)
VET space / 수의대생 블로그

펫코노미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펫과 이코노미의 합성어 인데요. 반려동물 산업 즉 펫시장의 성장으로 큰 산업의 한분야가 되면서 생긴 새로운 단어입니다. 사실 저는 수의대에 재학중이라 주변 대다수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답니다. 하지만 동물과 전혀 관계가 없는 일을 하시는 분들도 직장 동료나 친구들이 반려동물을 기르는 집이 많다는걸 느낄 수 있을겁니다. 심지어 점점 많아지는 구나 하고 느낄 수도 있으실꺼에요. 한국 농촌 진흥 경제원에 작성된 반려동물 연관 산업 발전 방안 연구 보고에 따르면 반려동물 산업의 규모가 2020년 3조 4000억에 육박한다고 보고 했습니다. 또한 27년에는 그 규모가 6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는데요. 많은 회사들의 어려움을 야기한 '코로나' 하지만 반려동물 산업을 하는 회사..

최근 레트로 감성의 인기로 젊은 사람들 입에도 많이 오르락내리락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대한제분'인데요. 대한제분은 30-40 세대들에겐 이미 밀가루로 유명한 브랜드 였습니다. 하지만 10-20대들에겐 생소한 브랜드였죠. 이 대한제분이 자신의 낡고 오래된 밀가루 브랜드라는 인식을 다양한 제품들과의 콜라보를 통해 깔끔하게 변신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최근 힙하게 떠오르고 있는 뉴트로 감성을 등에 업고 10-20대들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특별한 브랜드로 말이죠. 곰표 브랜드의 변신은 패딩, 티셔츠, 노트 등 다양한 제품들과의 콜라보를 이뤄냈습니다. CU와 콜라보를 통해 '곰표 밀맥주'도 출시했습니다. 이는 젊은 세대들의 SNS 감성을 자극하기 충분한 아이템이었고, 현재는 구하기 힘들 정도로 ..

안녕하세요! 오늘은 패션 브랜드인 '휠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휠라는 100년의 역사를 가진 브랜드라고 합니다. 처음 시작은 이탈리아였는데요. 1911년 이탈리아 휠라 형제들이 속옷사업으로 시작해서, 스포츠 의류 브랜드로의 발전을 통해 세계 4대 스포츠 브랜드 중 하나로 입지를 다졌습니다. 저는 최근까지 '휠라'가 외국브랜드 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휠라는 한국 기업입니다. 1990년 후반기부터 과도한 제품 개발 투자와 계속되는 마케팅 실패, 그로 인한 부진한 매출로 어려움에 빠지게 되었을 때, 2003년 한국 지사 였던 '휠라 코리아'가 휠라 본사를 인수한 것이죠. '휠라 코리아'는 전세계의 27개가량의 지사들이 적자에 허덕이고 있을 때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흑자를 내고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 ..

'펫코노미'라는 말을 아십니까? 펫코노미란 'Pet'과 'Economy'의 합성어로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한 많은 사업들이 악영향을 받고 있는 와중에도 반려동물 산업은 코로나 대유행 여파를 가볍게 무시하고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나타난 신조어인데요. 반려동물 관련 시장 및 산업을 나타내는 신조어로써,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펫코노미 시장은 사료, 간식, 장난감, 애견 호텔, 동물 병원 진료등 생각보다 넓은 반경을 가지고 있는 산업입니다. 한국 농촌 경제 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19년 기준 반려동물을 기르는 양육 가구 수는 전체 가구의 26%로 인구로 추산 시 1500만 명에 달한다고 하죠. 또한 이러한 반려동물 산업에 대한 시장 규모는 20년 기준 5조 8000억 원으로 전망된다고 하니..